hera0737 님의 블로그

hera0737 님의 블로그 입니다.

  • 2025. 3. 24.

    by. hera0737

    목차

      어촌 살림 확 바꿔줄 기회? 어업인 정부지원금

      40대 어업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지원금 이야기, 놓치면 손해!

      처음 이 얘기를 꺼내볼까 말까 고민 좀 했습니다
      왜냐면... 진짜로 알면 이득이고 모르면 손해인데,
      주위 사람들 대부분 모르고 지나치더라고요ㅠㅠ
      저도 서른 후반에 바다로 돌아오면서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었는데,
      정부지원금이라는 걸 알고 난 뒤로 생각이 확 달라졌습니다

      딱히 홍보하는 사람도 없고
      공식문서 보면 진짜 머리 아픈 말만 가득하고...
      그래서 오늘은 저처럼 40대에 어업 시작하거나
      기존에 하던 분들
      께 조금이라도 도움 되고자 글 씁니다!

      진짜 중요한 포인트 위주로,
      장점이랑 단점도 솔직하게!
      체험담처럼, 친구한테 말해주듯 풀어볼게요ㅎㅎ


      어업이라는 건요,
      그냥 배 타고 고기 잡는 걸로 끝나는 게 아니더라고요?
      기름값, 장비 교체, 양식장 관리, 심지어 판매 경로까지...

      하나부터 열까지 다 돈 들어가는 구조인데,
      정부에서는 그래도 이런 현실을 좀 도와주려는 의지가 있는지
      각종 지원금, 융자, 정책성 사업이 꽤 많아졌습니다!

      문제는...
      "너무 많아서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거;;
      그중에서도 실제 체감 가능한 지원금 위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특히 40대 어업인에게 적용 가능한 부분 중심으로요!


      1️⃣ 어업인 정착지원금, 이거 모르고 지나치면 안 됨!

      요즘 귀어귀촌 정책으로 정부가 꽤나 공격적으로 지원하죠?
      특히 만 18세~만 50세 이하인 어업 초보자나 이주민 대상으로
      정착지원금이 최대 월 100만 원까지 2년 동안 지원됩니다요!
      이건 정말 체감되는 혜택이라,
      친한 선배도 이걸로 1년간 배움에만 집중할 수 있었답니다ㅎㅎ

      단점이 있다면?
      👉 지역 어촌계 가입 조건,
      👉 일정 교육 이수 및 거주 요건 등이 있어서
      생각보다 간단하진 않다는 점...
      하지만 어업을 제대로 시작할 의지 있는 분이라면
      충분히 해볼 만한 제도입니다!


      2️⃣ 수산업 경영인 지원사업, 40대도 지원 OK!

      이건 진짜 몰라서 못 받는 대표적인 지원이에요;;
      예비 수산업 경영인으로 등록되면
      초기 어업 창업자금 융자가 최대 3억 원까지 나옵니다

      조건은 까다롭지만요,
      금리가 진짜 착합니다 (연 1%대 고정금리)
      게다가 5년 거치, 10년 상환이라
      시작 초기에 부담 확 줄여준달까...?

      하지만 단점도 명확해요
      👉 사업계획서 작성이 힘듦
      👉 심사과정이 깐깐함
      그래도 진심으로 창업하려는 사람이라면
      도전할 가치 충분!!
      실제로 저는 떨어졌지만ㅠㅠ
      같은 마을 형님은 이걸로 배 장만했어요ㅎㅎ


      3️⃣ 어촌 뉴딜 300, 인프라+주민 지원이 동시에!

      이건 단순 지원금이라기보다
      지역 전체에 혜택이 돌아오는 정책인데요~
      어촌의 기반시설을 싹 갈아엎는 대규모 사업이에요

      예를 들어...
      낡은 부두 → 친환경 접안시설
      불편한 위판장 → 현대식 위판장으로!
      이렇게 인프라가 좋아지면,
      당연히 어업인들 작업 환경도 확~ 좋아지죠

      단점?
      👉 이건 개인이 신청하는 게 아니고
      👉 지자체가 추진하는 사업이라
      내가 마음대로 컨트롤 못한다는 점...
      그래도 지역 선정만 되면
      혜택은 주민들 몫이니 꼭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4️⃣ 수산물 직거래 지원사업, 판로 걱정 줄이기

      요즘 수산물도 브랜딩이 중요한 시대잖아요?
      그래서 정부에서는
      온라인 마켓 입점, 직거래장터 참가비, 패키징 지원 등을 해주는 사업도 운영 중이에요!

      이건 40대가 운영하는 작은 어가나 협동조합도 대상이 되기 때문에
      혼자 바다 나가서 고기만 잡던 스타일에서
      판매까지 챙기는 스마트 어업인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ㅎㅎ

      단점이 있다면
      👉 서류 작업이 좀 복잡하고
      👉 홍보자료도 직접 만들어야 해서
      시간이 꽤 들어가요ㅠㅠ
      하지만 잘만 하면 고정 고객도 생기고
      소득 안정에도 도움 돼요!


      5️⃣ 스마트 양식장 지원, 디지털 시대에 안 어울리면 손해!

      진짜 요즘은 고기 잡는 것도 스마트하게 해야 하는 시대~
      수온 센서, 산소 농도 자동 측정기, 자동 급이 시스템 등
      스마트 양식장 도입을 위한 설비비, 교육비, 컨설팅비를 지원해 주는 사업도 있습니다!

      40대 어업인이 이런 첨단 장비까지 쓰면
      젊은 감각+전통 어업의 콜라보?!
      생산성도 쑥쑥, 안정성도 굿굿

      단점은?
      👉 초기 설치비가 크고
      👉 기계에 익숙하지 않으면 힘들어요
      그래서 이건 좀 공부도 필요하고
      배우려는 자세가 있어야 함!


      6️⃣ 그 외에 소소하지만 쏠쏠한 지원들 정리!

      위에 소개한 건 메인급이고요~
      그 외에도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 연료비 지원: 유류세 환급제
      • 어선 보험료 일부 지원: 사고 시 대비
      • 어가 경영 안정자금: 자연재해나 어황 나쁠 때 긴급 지원
      • 청년어업인 창업 인센티브: 지역 따라 차이 있음

      이런 소소한 것들이 모여
      1년에 수백만 원 이상 절약되기도 하죠
      물론...
      👉 각 지자체마다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 어촌계나 수협에 문의는 필수!

      이상으로 6 문단 구성, 딱 맞춰 소개드렸습니다ㅎㅎ
      다음은 FAQ랑 마무리 들어갑니다!

       

      궁금해할 만한 포인트 3가지 뽑아봤습니다!

      🔹 정착지원금은 꼭 귀어인만 받을 수 있나요?
      👉 꼭 그런 건 아닙니다! 기존에 어촌 출신이더라도
      도시에서 일정 기간 이상 거주했다가 귀어한 경우,
      또는 어업경험이 없는 신규인력이라면 대상 가능성 있어요~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니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 지원금 받으면 나중에 다시 내야 하는 거 아니에요?
      👉 아니요! 대부분은 보조금 형태라 갚을 필요 없어요~
      다만 융자 형식일 경우(예: 수산업 경영인 지원금)에는
      조건에 따라 상환의무가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

      🔹 수협이나 어촌계는 꼭 가입해야 하나요?
      👉 일부 사업은 어촌계 가입 필수 조건이 있고,
      또 수협 가입으로 정보 접근성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어요!
      물론 그만큼 활동과 책임도 따르니,
      자기 스타일에 따라 잘 판단하시길요!


      도전은 어렵지만, 이득은 분명한 길

      어업이라는 건
      매일 똑같은 파도와 씨름하는 것 같지만,
      지원금이란 건 그 거친 바다에 던져진
      작은 구명조끼 같더라고요ㅎㅎ

      솔직히 지원금 신청이 쉽진 않아요ㅠㅠ
      서류도 많고, 요건도 까다롭고,
      진짜 도움 되는 정보는 또 숨어있고...

      근데 딱 한 번만,
      정리해서 도전해 보면
      의외로 길이 열립니다요!

      저도 처음엔 뭐가 뭔지 몰랐지만
      하나하나 부딪혀보니
      분명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더라고요!